부동산21 전용면적, 공급면적, 분양면적, 계약면적 더 이상 헷갈리지 말기! 전용면적(㎡) 공급면적(=분양면적) 계약면적84㎡약 110~115㎡ 33-35평약 135~145㎡ 41~44평75㎡약 98~103㎡ 29~32평약 120~130㎡ 36.4~40평59㎡약 79~85㎡ 24~26평약 95~105㎡ 28.8~32평✔ 참고사항공급면적(=분양면적): 전용면적 + 복도, 계단, 엘리베이터 등 공용면적의 일부 지분계약면적: 공급면적 + 건물 전체 공용면적(지하주차장, 관리시설 등)의 일부 지분아파트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분양 공고에서 정확한 수치를 확인하는 게 중요 부동산 면적 개념은 한국에서 아파트나 상가를 구매할 때 중요한 요소야. 각각의 차이를 이해하면 분양 광고를 볼 때 헷갈리지 않고 정확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어. 1. 전용면적 (Exclusive Area) 실.. 2025. 3. 28. 조합의 종류 (재개발·재건축 vs. 지역주택조합) 조합의 종류 (재개발·재건축 vs. 지역주택조합)설립 주체토지·건물 소유자(=조합원)무주택자·1주택자(=일반인)토지 확보 여부이미 소유한 땅에서 진행땅을 사야 함 (리스크 큼)시공사 선정조합이 직접 시공사 선정보통 먼저 시공사를 정하지 않음정부 인허가도시정비법에 따라 철저히 관리비교적 규제가 적음리스크보통 안정적이지만, 사업 속도가 변수토지 확보 실패 시 무산 가능 (매우 위험)1️⃣ 재개발·재건축 조합 (안정적)재개발조합 → 낡은 단독주택·빌라 밀어버리고 아파트로 개발재건축조합 → 낡은 아파트를 헐고 새로 짓는 것토지·건물 소유자들이 직접 조합을 만들어 사업 추진땅(부지)이 이미 확보된 상태에서 진행 → 상대적으로 안전시공사를 선정하고, 일반 분양을 통해 비용을 정산결론: 이미 땅이 있고 정부의 인허가.. 2025. 3. 8. 지목이란?(용도지역과의 관계) 용도지역과 지목은 모두 토지의 사용 목적을 규정하는 중요한 개념이지만, 그 정의와 적용 방식은 다릅니다. 두 개념의 차이점과 관계를 간단히 정리해 드리겠습니다. 1. 용도지역 (Land Use Zone)용도지역은 도시계획법에 따른 토지의 용도를 규제하는 개념입니다. 특정 지역이 어떤 용도로 개발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며, 건축물의 용도, 높이, 밀도 등을 제한합니다. 주로 도시계획과 관련된 법적 규제를 나타내며, 주거, 상업, 공업, 녹지 등 다양한 용도로 나눠져 있습니다. 용도지역은 도시계획에 의해 건축물의 사용과 개발에 대한 규제를 결정합니다. 용도지역의 주요 예시 -주거지역 (일반주거지역, 제1종 일반주거지역, 제2종 일반주거지역 등) -상업지역 (일반상업지역, 중심상업지역 등) -공업지역 (일반공.. 2025. 2. 28. 농지전용허가, 농지전용부담금이란? 1. 농지전용의 뜻: **전용(轉用)**은 어떤 용도로 쓰이던 토지를 다른 용도로 변경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농지전용은 농지를 농업 용도에서 다른 용도로 바꾸는 절차입니다. 예를 들어, 농지를 주택지구, 상업지구 등 비농업 용지로 바꾸는 것입니다. 농지전용은 농업 외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농지를 변경하는 것을 뜻하며, 이는 농업용지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됩니다. 2. 농지전용허가: 농지전용허가는 농지를 다른 용도로 바꾸기 위해 필요한 법적 절차입니다. 농지법에 따라 농지를 전용하려면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이 허가는 농업용지의 사용을 농업 외의 용도로 변경하려는 경우에 반드시 받아야 하는 절차입니다. 농지전용허가는 보통 **지자체(시청, 군청 등)**에서 처리하며, 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법적인 요.. 2025. 2. 28. 공시지가와 매매가격이 차이나는 이유(표준지공시지가, 개별공시지가) 📌 공시지가 vs. 매매가격 차이 나는 이유1️⃣ 공시지가(공시가격)란?정부(국토교통부 또는 지자체)가 과세·보상 기준으로 정한 가격토지: "공시지가" (국토부가 매년 1월 1일 기준으로 발표)건물 포함 부동산: "공시가격" (아파트, 단독주택 등)주로 세금 부과, 보상금 산정, 건강보험료 책정 등에 사용됨2️⃣ 실제 매매가격(시세)이란?실제 시장에서 거래되는 가격공급과 수요에 의해 결정되며, 입지·개발호재·수요 증가에 따라 변동 폭이 큼📌 왜 공시지가와 시세가 차이 나나?① 정부의 가격 반영률 차이공시지가(공시가격)는 실제 시세의 일정 비율(현재 약 70~80%)만 반영하도록 설정됨.② 발표 시점 차이공시지가(공시가격)는 매년 1월 1일 기준으로 발표되므로, 실거래가 변동을 즉각 반영하지 못함.③ .. 2025. 2. 28. 용도지역 정리(주거지역, 상업지역, 공업지역, 녹지지역, 관리지역) 국토의 용도지역 정리표 (건폐율·용적률 포함)용도지역은 도시의 기능을 효율적으로 정리하고, 환경 보호 및 개발을 조절하기 위해 구분됩니다. 구분용도지역 주요 특징 건폐율 용적률주거지역① 1종 전용주거지역낮은 밀도의 주거지역, 단독주택 중심50% 이하100~150% ② 2종 전용주거지역중밀도 주거지역, 다세대·연립주택 허용50~60%150~200% ③ 3종 전용주거지역고밀도 주거지역, 아파트 건설 가능50~70%200~300% ④ 1종 일반주거지역단독·공동주택 가능, 소규모 상업시설 허용60% 이하200% 이하 ⑤ 2종 일반주거지역중층 아파트 가능, 상업시설 일부 허용60% 이하250% 이하 ⑥ 3종 일반주거지역고층 아파트 가능, 상업시설 가능50~70%300~500% ⑦ 준주거지역주거·상업 복합지역, 업.. 2025. 2. 28. 도로점용허가 필요성, 주의점 도로점용은 도로를 일시적으로 사용하거나 점유하는 행위를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공공재로서 모든 사람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지만, 특정 상황에서는 도로를 다른 용도로 사용해야 할 필요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건설 작업, 상업 활동, 시설 설치 등의 이유로 도로의 일부를 일시적으로 사용할 때, 도로점용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도로점용의 종류] 1. 건설 작업: 도로를 이용해 건물 공사나 인프라 공사를 할 때 도로의 일부를 점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도로에서 중장비 작업을 해야 할 때나 기계 장비를 보관할 때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상업적 활동: 상가 앞에 가판대를 설치하거나 외부 판매를 위한 공간을 마련하려고 할 때, 도로의 일부를 점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도심지나 .. 2025. 2. 28. 국토개발 자연보전권역, 성장관리권역, 과밀억제권역 자연보전권역과 성장관리권역은 한국의 국토개발 정책에서 중요한 개념이에요. 각각의 역할과 목적을 살펴보면:자연보전권역: 자연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설정된 지역으로, 개발을 최소화하고 자연자원의 보존과 생태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해요. 이 지역에서는 건축, 개발, 토지 사용이 제한되며, 환경 파괴를 방지하는 것이 주요 목표입니다. 예를 들어, 생태계의 중요한 부분이나 자연 보호구역 등은 이 권역에 포함될 수 있어요.성장관리권역: 도시나 지역의 과도한 성장을 방지하고, 체계적인 발전을 유도하기 위해 설정된 지역입니다. 이 지역은 일정한 개발이 가능하지만, 무분별한 확장을 막고, 계획적인 개발과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죠. 보통 교통망, 공공시설 등이 고려되어 계획적인 성장을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즉, 자연보전권.. 2025. 2. 28. 민간투자사업(ppp) 관련 용어(예타, 민자적격성, 민간투자사업심의) 📌 민자사업(PPP) 주요 과정 민간투자사업(Private Participation in Infrastructure, PPP)은 정부가 인프라(도로, 철도, 터널 등)를 민간자본으로 건설하는 방식이야. 이 과정은 몇 가지 중요한 단계를 거쳐 진행돼. 1️⃣ 사업 구상 및 검토📌 (1) 공공기관 또는 민간에서 사업 제안정부(국토부, 지자체 등) 또는 민간기업이 "이런 인프라가 필요하다!"고 제안 예: "이 지역에 고속도로를 새로 만들면 교통이 편해질 거야!" 📌 (2) 예비타당성조사 (필요성 검토)국가 재정으로 할지, 민간자본으로 할지 판단 민자로 하면 더 경제적이고 효과적인지 분석 비용 대비 편익(B/C) 분석 📌 (3) 민자적격성 검토민자사업이 가능한지 (정부 예산 부담이 과도하지 않은지) 평가.. 2025. 2. 28. 민간투자 사업 BTO, BTL이란?(수익형, 임대형) 지하철 개발할 때 BTO(Build-Transfer-Operate)와 BTL(Build-Transfer-Lease) 방식은 민간자본을 활용한 민간투자사업(BTO, BTL 등 PPP·Public-Private Partnership) 모델입니다. 각각의 차이점을 설명해줄게. 1. BTO (Build-Transfer-Operate, 수익형 민자사업) 민간이 건설(Build) 후 소유권을 국가(공공기관)에 이전(Transfer) 하지만, 운영(Operate) 은 일정 기간 동안 직접 하면서 요금(운임) 등의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 지하철 개통 후 일정 기간(보통 30년) 동안 민간 사업자가 직접 운영하며 승객 요금 등으로 투자금을 회수함. 운영 기간이 끝나면 지하철 운영권도 국가(공공기관)로 완전히 넘어감. ?.. 2025. 2. 26. 공공택지개발사업 과정 및 소요기간 >택지개발사업 과정 및 소요기간 택지개발사업은 공공의 주거지, 상업지구 등을 개발하기 위한 중요한 과정입니다. 아래는 택지개발사업의 주요 단계들을 시간 순서로 정리한 것입니다. 대략적인 기간도 함께 안내드리겠습니다. 택지개발사업은 보통 5년에서 10년 정도 걸리며, 규모와 복잡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공공택지 개발사업 주요 단계 (중요한 것들 위주)📌 1. 후보지 선정국토교통부 또는 LH(한국토지주택공사) 등 사업시행자가 택지 개발이 필요한 지역을 선정📌 2. 예비타당성 조사 (필요 시)국가재정이 투입되는 대규모 사업은 기획재정부 주관으로 KDI가 경제성·정책성 평가 수행📌 3. 공공주택지구 지정 제안 및 승인국토교통부 장관이 택지개발예정지구 지정(공공주택지구 지정)주민 공람 후 중앙도.. 2025. 2. 25. 권리금 뜻, 종류 권리금은 상가나 점포의 기존 사업자가 신규 사업자에게 받는 금액으로, 상권의 인지도나 시설 투자 비용 등에 따라 금액이 달라져. 법적으로 명확한 기준이 있는 건 아니고, 시장 가격에 따라 결정돼. 🔥 권리금의 종류와 결정 방식 1️⃣ 영업권리금 기존가게의 단골 고객, 매출, 브랜드 가치 등이 반영됨 상권이 활성화된 지역일수록 높아짐 홍대유명카페->신규 창업자가 기존 단골 확보를 위해 권리금 지급 2️⃣ 시설권리금 기존 사업자가 투자한 인테리어, 집기, 설비비용 반영 리모델링이 많이 든 가게일수록 비용 높아짐 고급레스토랑->주방시설이 비싸면 시설 권리금이 높음 3️⃣바닥권리금 입자 자체의 희소성에 따라 결정됨 상권이 좋은 위치(핫플)일수록 비싸짐 강남역 대로변 1층상가는 바닥권리금만 수억원 💰 권리금 .. 2025. 2. 25.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