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이션 측정 대표 물가지수 |
Consumer Price Index |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Price Index |
CPI (소비자물가지수) Consumer Price Index |
-미국 고용통계국에서 매월 발표 -도시가구가 실제로 지출한 것만을 포함 -PCE보다 적은 품목을 대상으로 작성되고 PCE의 25%정도가 제외됨. -CORE CPI는 계절적으로 영향을 받는 농산물과 외부적 요인에 영향을 받는 석유류 품목을 제 |
|
PCE (개인소비지출가격지수) Personal Consumption Expenditure Price Index |
-FED가 더욱 신뢰하는 지수 -정부보조금으로 운영되는 의료보험과 국민의료보조비, 건강보험등의 소비자가 지출하지 않는 부문에 대해서도 그 가치를 평가하여 포함. -CORE PCE는 변동폭이 큰 계절식품 및 에너지 가격을 제외 |
|
PPI (생산자물가지수) Producer price index |
-기업들이 구입하는 재화와 서비스묶음의 비용을 나타냄 -궁극적으로 기업들은 생산비용 상승분을 소비자 가격 인상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가하므로 생산자물가지수와 소비자물가지수는 변동을 예측하는데 매우 유용 |
▶PCE 개인 소비자 물가 지수 특징
- 가장 중요한 물가 지표 중 하나: 소비자들이 실제로 지불하는 물가를 반영하기 때문에 CPI 지수보다 Fed가 더 중요하게 여깁니다.
- 다양한 소비 항목 포함: 식량, 에너지, 주택, 의류, 의료, 서비스 등 다양한 소비 항목의 가격 변화를 종합적으로 반영합니다.
- 연간 및 월별 변동률: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과 전월 대비 증가율을 분석하여 물가 상승 추세를 파악합니다.
- 핵심 PCE 지수: 에너지와 식량 가격의 변동성이 큰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제외한 지수입니다. Fed는 인플레이션 목표 달성 여부를 판단하는 데 핵심 PCE 지수를 주로 참고합니다.
- 매달 27일 또는 28일 발표: 미국 상무부 경제 분석국(Bureau of Economic Analysis, BEA)에서 발표됩니다.
- 금리 결정 및 경제 정책 수립: Fed는 PCE 지수를 기반으로 금리 인상/하락 여부를 결정하고 경기 침체 방지 정책을 수립합니다.
- 투자 및 경제 분석: 투자자들은 PCE 지수를 통해 물가 변동 추세를 파악하고 투자 전략을 수립하며, 기업들은 PCE 지수를 기반으로 생산 계획 및 가격 책정을 수립합니다.
최근 PCE 지수 동향 및 전망
- 2024년 4월 핵심 PCE 지수: 전년 동기 대비 2.8% 상승, 전월 대비 0.2% 상승 (예상치 0.2% 상승)
- 물가 상승 둔화: 최근 몇 달간 PCE 지수 상승률이 둔화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Fed의 인플레이션 목표 2%보다 높은 수준입니다.
- Fed의 금리 인상 전망: Fed는 물가 안정을 위해 금리를 단계적으로 인상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하지만 경제 침체 우려로 인해 금리 인상 속도는 완만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PCE 지수 관련 주의 사항
- 변동성: PCE 지수는 매달 변동될 수 있으며, 단기간의 변동만으로는 명확한 판단을 내리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기타 경제 지표: PCE 지수 외에도 CPI 지수, 실업률, 소득 지수 등 다양한 경제 지표를 종합적으로 분석해야 합니다.
- 전문가 의견: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 경제 전문가의 의견을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 CPI 소비자 물가 지수 특징
-소비자물가지수(CPI)의 증가는 이자율 상승 및 해당국 통화 가치의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반면, 경기 침체기에는 경기 침체의 심화 및 그에 따른 해당국 통화 가치 하락으로도 연결될 수 있습니다.
-연준을 포함해 중앙은행의 주요한 설립 목표가 물가 안정입니다.
-역사적으로 하이퍼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면 선거에서 지고 정권이 바뀌고 전쟁이 일어났습니다.
-항상 2% 물가안정 목표 제시하고 있습니다
728x90
'금융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쇼어링, 니어쇼어링, PCE/CPI (2) | 2024.06.30 |
---|---|
장단기 금리 역전현상, 금리의 종류 (1) | 2024.06.30 |
환율의 결정 원리 (0) | 2024.06.10 |
원자재 가격 변동의 원인과 영향(리튬, 코발트, 우라늄) (2) | 2024.06.09 |
미국의 경제 대공황 배경/인플레이션은 앞으로도 계속된다 (2) | 2024.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