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금융상식

장단기 금리 역전현상, 금리의 종류

by 노는공주들 2024. 6. 30.

 

장단기 역전 현상(Inverted Yield Curve)**은 단기 채권의 금리가 장기 채권의 금리보다 높아지는 현상을 말해요. 보통 금리는 장기 채권의 이자가 단기 채권보다 더 높지만, 역전되면 경제적인 신호로 해석됩니다. 

 

<일반적인 채권 금리와 가격>

*경제 안좋음(전쟁, 금융위기)->안전자산 국채 수요 증가->채권가격 상승->채권금리 하락

 

*경제좋음(전쟁, 금융위기)->안전자산 국공채 매도->채권가격 하락->채권금리 상승

 

 

유동성 프리미엄 이론에 따라 장기 채권의 금리가 단기채권의 금리보다 높은 것이 정상.


<장단기 역전현상의 원인>

1. 경제 성장 둔화에 대한 우려

  • 경기 침체 예측: 장기 금리가 낮아지는 이유 중 하나는 경제 성장 둔화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기 때문. 투자자들은 향후 경제 전망이 나쁘다고 생각하여 장기 채권을 선호하고, 이로 인해 장기 금리가 내려가게 됩니다.

2. 금리 인상 우려

  • 중앙은행(예: 미국의 연준)은 경기 과열을 막기 위해 단기 금리를 올리기도 해. 이로 인해 단기 금리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장기 금리가 낮아지는 동안 단기 금리가 높은 상태에서 역전 현상이 나타납니다.

3. 단기 금리에 대한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 중앙은행이 금리를 높이는 것은 보통 경제 과열을 막기 위한 조치입니다. 이때 단기 금리는 상승, 장기 금리는 낮은 상태를 유지하면서 역전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인플레이션 우려

  •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상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단기 금리가 급등할 수 있습니다. 동시에 장기 금리는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것이라는 우려로 낮아지기도 합니다.

5. 시장 불확실성

  • 불확실한 경제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리스크를 피하고자 장기 채권을 선호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장기 채권의 수요가 높아져 금리가 하락하고, 단기 금리와 역전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6. 채권 투자자의 행동 변화

  • 투자자들이 장기 채권을 선호하면서 장기 채권의 가격이 상승하고, 금리가 하락합니다. 반면, 단기 채권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면 단기 금리가 상대적으로 상승하면서 역전 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7. 은행이 남는 자금을 채권에 투자

기업이 돈을 빌리지 않아 자금수요가 없음. (기업은 대부분 은행의 장기대출 이용)

은행들은 남는 자금을 채권에 투자하여 채권 수요가 많아지면 채권 가격은 오르고 금리는 낮아짐.

 

경제적인 영향

  • 경기 침체의 전조: 역사적으로 장단기 금리 역전경제 침체가 올 가능성이 크다는 신호로 해석되기도 했습니다. 보통 역전이 발생한 후 몇 개월 내에 경기 침체가 오곤 했습니다.

결론

장단기 금리 역전은 주로 경기 둔화, 인플레이션 우려,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 등으로 인해 발생하며, 이는 시장의 미래 경제 성장에 대한 불안감을 나타내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참고

기준금리, 정책금리: 중앙은행에서 결정

 

시장금리, 국채금리, CD금리(은행단기채권), 채권금리, 정기예금금리, 사채금리:  수요에 따라 시장에서 결정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