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스왑의 기본 개념
스왑(Swap)은 말 그대로 "교환"을 의미해. 즉, 미래의 돈 흐름(현금흐름)을 서로 맞바꾸는 계약이야.
예를 들어,
금리 스왑: A는 변동금리 대출을 갖고 있는데, 고정금리로 바꾸고 싶어. B는 고정금리 대출을 갖고 있는데, 변동금리로 바꾸고 싶어. 그래서 서로 이자를 교환해.
통화 스왑: A는 원화로 돈을 빌렸는데, 달러가 필요해. B는 달러로 빌렸는데, 원화가 필요해. 그래서 서로 돈을 바꿔서 쓰기로 해.
💡 쉽게 예를 들어볼게! (금리 스왑)
✅ A의 상황
A는 은행에서 **변동금리(예: 기준금리 + 2%)**로 대출받았어.
그런데 금리가 계속 오를 것 같아서, **고정금리(예: 5%)**로 바꾸고 싶어.
✅ B의 상황
B는 반대로 고정금리(5%) 대출을 갖고 있는데, 금리가 내려갈 것 같아서 **변동금리(기준금리 + 2%)**로 바꾸고 싶어.
✅ A와 B가 계약을 맺으면?
A는 B에게 고정금리(5%) 이자를 주고,
B는 A에게 변동금리(기준금리 + 2%) 이자를 줘.
결과적으로, A는 변동금리를 고정금리로 변경한 효과를 얻고, B는 고정금리를 변동금리로 변경한 효과를 얻어.
->이게 금리 스왑이야!
💡 또 다른 예! (통화 스왑)
✅ A의 상황
A는 한국 회사인데, 미국에서 사업하려고 달러가 필요해.
그런데 한국에서 달러 대출을 받으면 금리가 비싸.
✅ B의 상황
B는 미국 회사인데, 한국에서 사업하려고 원화가 필요해.
그런데 미국에서 원화 대출을 받으면 금리가 비싸.
✅ A와 B가 계약을 맺으면?
A는 B에게 원화를 주고,
B는 A에게 달러를 줘.
서로 필요한 돈을 교환해서 사용한 다음, 나중에 다시 원래 금액을 돌려줘.
->이게 통화 스왑이야!
정리하면
✔️ 스왑(Swap)은 특정한 조건에 따라 미래의 현금흐름을 서로 교환하는 계약이야.
✔️ 금리 스왑: 변동금리 ↔️ 고정금리
✔️ 통화 스왑: 원화 ↔️ 달러교환
2. ETN에서의 스왑활용
💡 예시: 코스피200 레버리지 ETN (2배 수익)
✅ 상황
너가 코스피200 레버리지 ETN을 샀다고 해.
코스피200 지수가 1% 오르면, 이 ETN은 2% 오르는 구조야.
증권사는 투자자들에게 코스피200 지수의 2배만큼의 수익을 지급해야 해.
그런데, 증권사는 직접 코스피200 주식을 사지 않아!
대신 선물 & 스왑 계약을 활용해서 2배 수익을 만들어.
✅ 스왑을 활용하는 방식
증권사가 은행이나 금융기관과 스왑 계약을 맺어
예를 들어, 증권사는 A은행과 계약을 맺어.
계약 내용:
증권사는 A은행에게 "코스피200 지수 상승률 x 2배"의 돈을 받기로 함.
대신, 증권사는 A은행에게 정해진 이자를 지급함.
코스피200이 1% 오르면?
A은행은 스왑 계약에 따라 증권사에게 2%만큼 돈을 지급해야 해.
증권사는 이 돈을 투자자에게 지급!
코스피200이 1% 내리면?
반대로, 증권사는 A은행에게 2%만큼의 돈을 지급해야 해.
그러면 투자자의 ETN 가격도 2% 하락.
결과적으로 증권사는 직접 코스피200 주식을 매수하지 않아도, 스왑 계약을 통해 투자자들에게 2배 수익을 지급할 수 있어.
💡 또 다른 예시: 원유 선물 ETN
✅ 상황
원유 ETN은 실제 원유를 보유하는 게 아니라, 원유 선물 가격을 따라감.
증권사가 직접 원유를 사서 보관할 수 없기 때문에 스왑 계약을 이용해서 원유 가격과 연동시켜.
✅ 스왑을 활용하는 방식
증권사는 은행과 스왑 계약을 맺음.
계약 내용:
은행이 원유 선물 가격 변동에 따른 차익을 증권사에 지급함.
증권사는 은행에게 정해진 이자를 지급함.
원유 가격이 5% 상승하면?
은행은 스왑 계약에 따라 증권사에게 5%만큼 돈을 지급.
증권사는 투자자에게 ETN 가격 상승분을 반영해서 제공.
원유 가격이 5% 하락하면?
반대로, 증권사는 은행에게 5%만큼 돈을 줘야 함.
투자자들은 ETN 가격이 5% 하락하는 걸 경험.
->이렇게 증권사는 실제 원유를 사지 않아도, 스왑 계약을 활용해서 원유 가격을 추종하는 ETN을 만들 수 있어.
📌 정리하면!
✔️ ETN은 실제 주식이나 원자재를 보유하는 게 아니라, 금융기관과 스왑 계약을 맺어서 수익을 냄.
✔️ 스왑 계약을 통해, 증권사는 자산을 직접 보유하지 않고도 지수를 따라가는 구조를 만들 수 있어.
✔️ 레버리지 ETN, 원유 ETN, 금 ETN 등 다양한 ETN에서 스왑이 활용됨!
728x90
'금융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환사채(CB)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의 개념 (0) | 2025.02.27 |
---|---|
ABS(자산유동화증권, Asset-Backed Securities)란? (1) | 2025.02.27 |
SPC(특수목적법인, Special Purpose Company)란? (0) | 2025.02.27 |
PF(Project Financing, 프로젝트 파이낸싱)과 브리지론(Bridge Loan) (0) | 2025.02.27 |
환치기 뜻(Illegal Remittance, Hawala) (0) | 2025.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