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C(특수목적법인, Special Purpose Company)란?
**SPC(Special Purpose Company)**는 특정 프로젝트나 목적을 위해 한정된 기간 동안 설립하는 법인이야.
보통 리스크를 분산하고, 금융 거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설립돼.
✅ SPC가 필요한 이유
1️⃣ 프로젝트 리스크 분산
- SPC를 만들면 사업 리스크가 모회사(시행사, 건설사)로 가지 않고, SPC에 한정됨
- 즉, 사업이 망해도 시행사나 건설사는 법적으로 책임을 최소화할 수 있음
2️⃣ 금융 조달 용이
- 프로젝트별로 SPC를 만들어서 PF 대출을 받으면, 은행이 사업성을 따져 대출 승인
- 시행사가 직접 대출받는 것보다 신용 리스크가 낮아 대출이 더 쉬워짐
3️⃣ 세금 절감 효과
- SPC는 법인세 등 각종 세금을 줄이는 효과가 있음
- 특히 부가가치세(VAT) 면제나 감면 혜택이 적용될 수도 있음
✅ SPC는 어디에서 많이 쓰일까?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규모 부동산 개발사업(아파트, 오피스, 복합단지)
SOC(사회간접자본) 사업(지하철, 고속도로, 공항 등)
-ABS(자산유동화증권) 발행
대출채권, 부동산, 매출채권을 바탕으로 증권을 발행할 때
예) 카드사, 저축은행이 대출채권을 SPC에 넘기고 ABS(자산유동화증권)를 발행
-M&A(기업 인수·합병)
기업을 인수할 때 SPC를 설립해 지분을 보유하도록 함
예) 카카오가 SPC를 만들어 회사를 인수할 때 활용
✅ SPC & PF 구조 예시
예제: A 시행사가 1조 원 규모의 아파트 개발 사업을 추진하는 경우
1️⃣ A 시행사 → SPC(예: A프로젝트개발㈜) 설립
2️⃣ SPC가 PF 대출을 받아 개발 자금 조달
3️⃣ SPC가 시공사(건설사)와 계약 → 공사 진행
4️⃣ 아파트 분양 후 수익 발생
5️⃣ 수익으로 PF 대출 상환 & SPC 해산
결론!
SPC는 개발사업이 끝나면 해산하는 일시적인 법인이야. 개발이 끝나면 역할이 없어지니까!
728x90
'금융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환사채(CB)와 신주인수권부사채(BW)의 개념 (0) | 2025.02.27 |
---|---|
ABS(자산유동화증권, Asset-Backed Securities)란? (1) | 2025.02.27 |
PF(Project Financing, 프로젝트 파이낸싱)과 브리지론(Bridge Loan) (0) | 2025.02.27 |
환치기 뜻(Illegal Remittance, Hawala) (0) | 2025.02.25 |
선물 시장에서 펀딩비란?(Funding Rate) (1) | 2025.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