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B(전환사채, Convertible Bond)
일반 회사채 +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포함된 채권
투자자는 일정 기간 후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음
회사는 CB를 발행해 대출보다 낮은 금리로 자금 조달 가능
✅ BW(신주인수권부사채, Bond with Warrant)
회사채 + 신주를 일정 가격에 살 수 있는 옵션이 붙어 있는 채권
CB와 달리 채권 자체는 유지되고, 추가로 신주를 매입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짐
투자자는 회사채 이자도 받고, 나중에 신주를 싸게 살 수도 있음
결론!
CB는 "채권 → 주식"으로 바꿀 수 있음
BW는 "채권 유지 + 주식을 추가로 살 수 있는 권리"가 있음
✅ CB와 BW는 ABS(자산유동화증권)가 아닌 이유
-CB와 BW는 기업이 직접 발행하는 회사채
ABS는 특정 자산(대출채권, 부동산 등)을 기반으로 발행하는 유동화증권
CB와 BW는 기업이 직접 발행하는 회사채로, 특정 자산을 유동화한 것이 아님
-CB와 BW는 기업의 신용도에 따라 발행 가능
ABS는 담보 자산이 중요(예: 부동산, 카드채권, 주택담보대출 등)
CB와 BW는 기업 자체의 신용도와 주가 전망이 중요
-CB와 BW는 ABS처럼 유동화 구조를 거치지 않음
ABS는 SPC(특수목적법인)를 통해 발행하는 경우가 많음
CB와 BW는 기업이 직접 발행하고, 투자자가 이를 매입
결론!
CB와 BW는 기업의 자금조달 방식 중 하나일 뿐 ABS는 아님!
728x90
'금융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왑이란?(SWAB) (1) | 2025.02.27 |
---|---|
ABS(자산유동화증권, Asset-Backed Securities)란? (1) | 2025.02.27 |
SPC(특수목적법인, Special Purpose Company)란? (0) | 2025.02.27 |
PF(Project Financing, 프로젝트 파이낸싱)과 브리지론(Bridge Loan) (0) | 2025.02.27 |
환치기 뜻(Illegal Remittance, Hawala) (0) | 2025.02.25 |